International Women's Day 2023

PwC, 여성 고용환경 지수 발표

PwC가 3월 8일, 세계 여성의 날을 맞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내 33개 국가의 여성 고용 성과를 측정하고 평가한 ‘여성 고용환경 지수(Women in Work Index)’를 발표했다.
올해로 11회째를 맞는 PwC Women in Work Index(여성 고용환경 지수)는 총 8가지 지표(여성 노동 참여율, 남성 노동 참여율, 여성 실업율, 남성 실업율, 여성의 이사회 참여 비율, 여성 정규직 고용 비율, 성별 임금 격차, 성별 노동 참여 격차)를 기준으로 하고 있다.
한국 여성 고용환경 지수, OECD 33개국 중 2년 연속 최하위 수준
  •  한국의 성별 임금 격차 순위, 멕시코 보다도 낮은 수준
  • 한국과 멕시코, 여성 고용환경 지수 종합 평가 각각 43, 41점으로 2년 연속 OECD 국가 중 최하위 

  • 여성의 경제 활동 참여율, 스웨덴 수준으로 높아진다면, 한국 연간 3천2백50억 달러, 약 423조 원 가량의 잠재적 경제 이익 효과

  • 성별 임금 격차의 가장 큰 요인 ‘모성 페널티’, 출산율에도 걸림돌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자의적, 타의적으로 노동 시장을 이탈했던 여성들이 직장으로 복귀하고 있지만, 직장내 양성평등은 여전히 요원한 것으로 나타났다. 노동 시장은 여전히 전 세계적으로 여성에게 불평등한 곳이었다. 

PwC의 여성 고용환경 지수(Women in Work Index)에 따르면 OECD 33개국 내 여성의 사회 참여율은 2021년 소폭 증가했으나, 성 평등을 향한 진전은 여전히 더뎠다.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의 성별 임금 격차(여성과 남성의 중위소득 차이 백분율)를 해소하면 여성 근로자의 소득이 연간 2조 달러 이상 증가하는 등 수조 달러의 경제적 이득을 얻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2011년 17%였던 OECD 국가 내 성별 임금 격차가 2021년 14%로, 지난 10년간 단 3%만큼 좁혀졌다는 사실을 감안할 때, 지금의 임금 격차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최소 50년 이상 걸리는 셈이다. 

특히 한국은 성별 임금 격차가 31.1%로 OECD 33개 국가 중 33위, 최 하위를 차지했는데, 성별 임금 격차가 가장 적은 국가는 룩셈부르크(0.5%)로 우리 나라와 큰 차이를 보인다. 다만, 2000년 41.7%에서 점점 격차를 좁히고 있으며, 2015년 이후로는 지속적인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 밖에도 여성 노동참여 비율(59.9%, 29위), 이사회 내 여성 비중(8.7% 33위) 여성 정규직 고용 비율(76.8%, 18위) 등 여러 분야에서 대체로 낮은 순위를 보였다. 전체적인 ‘여성 고용환경 지표’ 점수는 한국이 43점, 멕시코가 41점으로 OECD 국가 중 각각 32, 33위를 기록했는데, 이는 전년도 조사와 동일한 순위로 점수만 소폭 상승했다. 

성평등 지수에서 가장 우수한 성적을 거둔 국가 순위는 2020년과 비교했을 때 큰 변동은 없었는데, 지난해 3위를 기록한 룩셈부르크가 올해 1위로 올라섰고, 뉴질랜드가 2년 연속 2위를 유지,  슬로베니아는 1위에서 3위로 순위가 하락했다.   

2021년 여성의 실업률은 OECD 평균 6.7%에서 6.4%로 소폭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남성의 경제활동 참가율과 고용률도 비슷한 개선세를 보였는데, 이는 노동 시장에서 성평등을 향한 진전이 나타났다기 보다는, 거시경제 요인과 코로나 이후 전반적인 노동시장의 회복세를 반영한 결과이다. 

보고서는 특히, OECD 전체에서 여성 고용률이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이 가장 높은) 스웨덴과 같은 수준으로 증가한다면, 연간 약 6조 달러의 잠재적 경제 이익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됐다.

[그래프] 한국의 성별 임금 격차 추이

한편, 이번 연구를 주도한 PwC 영국은 자국을 대상으로 전체 보고서 주제와는 별도로 ‘모성 페널티’에 대해 분석한 결과를 함께 발표했다. 성별 임금 격차의 가장 주요한 원인으로 꼽히고 있는 모성 페널티는, 2021년 OECD에 속한 유럽 25개국의 성별 임금 격차 원인의 60%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나머지 40%는 사회적 규범, 성 고정관련, 성차별 등의 사유), 일부 북유럽과 서유럽 국가에서는 75%를 차지하기도 했다. 

향후 20년 동안 남성이 지금보다 육아휴직을 더 많이 사용할 경우, 영국 전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예상할 수 있다.

  • 영국에서 약 72만 명의 여성이 추가로 풀타임 고용을 유지하여 여성의 평생 소득 증가에 기여할 것으로 추정.
  • 약 23만 명의 여성과  24만 명의 남성이 산후 우울증에 시달리지 않을 것으로 추정.
  • 매년 약 66,000명(출생아의 10%)의 아동이 고등학생이 되었을 때 수학이나 영어에서 한 등급 더 높은 점수를 받아 평생 3억 3,000만 파운드의 수입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
  • 건강 및 교육 환경 개선으로 사회가 혜택을 볼 수 있음. 예를 들어, 산후 우울증 발생률 감소로 인한 14억 파운드의 국민보건서비스(NHS) 절감 효과가 있음.
  • 고용주는 채용 및 이직률 감소로 매년 2억 6,000만 파운드의 비용 절감 효과를 누릴 수 있음. 이는 추가적인 휴가 제공에 따른 비용을 부분적으로 상쇄할 수 있음.
  • 고용주는 장기적으로 우수한 인재를 유치하고 확보할 수 있어 이론적으로는 더 행복하고 건강하며 생산적인 인력을 고용함에 따라, 수익성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임.
    참고: 이러한 혜택이 모두 즉시 실현되는 것은 아니며, 본질적으로 측정과 증명이 어려움

여성 고용환경을 개선하는 것은 비단 성별 간 평등을 달성할 뿐 아니라, 우리나라 전체 GDP 상승 효과도 불러오는 것을 연구 결과로 확인할 수 있다. 우리나라 출산율이 OECD 국가 최저 수준임을 감안할 때, 모성 페널티의 해결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다가올 인구 절벽 해소는 물론 국가 경제 생산성을 높이는 해법이 될 수 있다.

삼일PwC 윤훈수 대표이사
나라별 데이터 조회
Women in Work
Index score and rank
Impact on female earnings from closing
the gender pay gap
GDP impact of increasing female
employment rates to Swedish levels
'N/A' indicates that there is no data available for a given indicator, year and territory. The only exception to this is the GDP impact of increasing female employment rates to Swedish levels for Estonia, Iceland and Sweden for the years 2015 to 2021 (inclusive) whereby 'N/A' indicates that the GDP impact is zero. Estimates of the annual economic gains from closing the gender pay gap and increasing female employment rates to Swedish levels are gross and reported in nominal terms and are only available for years 2015 to 2021 (inclusive). The impact on female earnings from closing the gender pay gap is estimated by increasing women’s average wages to match those of their male counterparts in each country. The GDP impacts of increasing female employment rates to Swedish levels is estimated by calculating the full-time equivalent employment rate for Sweden and increasing this rate in other countries to match that of Sweden’s (while holding male rates constant). Sources: PwC analysis, OECD, Eurostat, US Bureau of Labour Statistics, MSCI ESG Research, The Economist.

Note: The Women in Work Index is a weighted average of five indicators that provide information about women’s labour market outcomes, including the female rate of participation in the labour force, unemployment rates, and gender parity in pay. Download the Technical Appendix for the complete methodology.
Follow 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