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 자본 및 생물다양성 시리즈 ②

background image
  • November 2024

자연 자본 공시 대응을 위한 기업의 준비 전략

박경상 Partner

박경상 Partner

Sustainability Platform, Samil PwC

자연 자본의 손실과 생물다양성 감소에 대한 국제사회의 공감대가 확산되며 글로벌 자연 관련 리스크 대응을 위한 규제의 등장과 이해관계자의 요구가 증가될 것으로 전망된다. 전 세계적으로 빠르게 진행되는 자연 자본의 손실과 생물다양성 감소는 인류의 생존과 글로벌 비즈니스의 지속가능성을 위협하고 있기 때문이다.

자연 자본과 생물다양성 위기 대응은 단순한 기업의 사회적 책임 문제가 아니다. ‘자연 자본 및 생물다양성 시리즈 1’에서 논의했던 바와 같이 자연 관련 리스크는 대부분의 산업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나아가 글로벌 경제에 심각한 리스크로 작용하고 있다.

2022년 12월 캐나다 몬트리올에서 열린 제15차 유엔 생물다양성 협약 당사국 총회(COP15)에서는 자연자본 공시 제도화에 대한 국제적 합의가 이뤄졌으며, 지난해 9월에는 자연 자본 관련 공시 가이드라인인 TNFD 권고안이 발표됐다. 국내에서는 아직 시기상조인 주제이지만, 자연 자본과 생물다양성 회복을 위한 국제사회의 노력에 정부와 기업이 공조해야 하는 시기가 도래한 것이다.

삼일PwC 지속가능성 플랫폼(Sustainability Platform)의 자연 자본 및 생물다양성 두 번째 시리즈는 글로벌 자연 관련 공시 기준의 토대가 될 TNFD 권고안을 중심으로 기업 준비 사항을 알아보고자 한다.

I. 자연 관련 정보 공개 프레임워크(TNFD)의 등장

1. 국제사회의 논의 과정

국제사회에서 자연 및 생물다양성 관련 첫 논의는 1970년대부터 본격화됐다. 20세기 중반에 들어서면서 야생 동·식물의 국제 거래가 급격히 증가했고, 이는 여러 종의 멸종 위기를 촉발하는 원인이 되었다. 국제자연보호연맹(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 이하 IUCN)은 멸종 위기에 처한 야생 동·식물종의 국제 거래를 규제하는 협약의 초안을 준비하기 시작했다. 이후 여러 차례의 논의와 협의를 거쳐, 1973년 3월 3일 미국 워싱턴 D.C.에서 열린 회의에서 ‘멸종위기에 처한 야생 동·식물 종의 국제거래에 관한 협약(Convention on International Trade in Endangered Species of Wild Fauna and Flora, 이하 CITES)’이 공식적으로 채택되었다. 

한편, 생물다양성 감소는 인간 활동과 기후 변화 등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CITES 협약이 자연 자본과 생물다양성 감소 문제를 해결하기에는 충분하지 않았다. 이에 따라 국제 사회에서는 자연 자본을 보존하고 생물다양성을 보호하기 위한 포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되기 시작했다. 

1987년 6월, 유엔 환경 계획(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me, 이하 UNEP)은 생물다양성을 보존하기 위한 국제 협약의 초안을 작성했다. 이후 여러 차례의 정부 간 협상 회의를 거쳐, 1992년 6월 유엔 환경 개발 회의(United Nations Conference on Environment and Development, 이하 UNCED)에서 159개국의 정부 대표가 생물다양성협약(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이하 CBD)에 서명했다. 동 협약은 1993년 12월 29일에 정식 발효됐다. 생물다양성협약(CBD)의 당사국 총회(COP, Conference of the Parties)는 협약의 최고 결정 기관으로, 2년 마다 당사국들이 모여 협약의 이행을 감독하고 향후 방향을 결정하는 중요한 역할을 해오고 있다. 

2020년 세계경제포럼(WEF)의 글로벌 리스크 보고서는 생물다양성 손실과 생태계 붕괴를 전 세계적으로 발생 가능성과 영향력 면에서 모두 상위 5위에 포함되는 주요 리스크로 지목했다. 이러한 결과는 자연 자본과 생물다양성 관련 위기가 생물다양성 협약 등 정부 차원의 노력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으며, 기업과 금융 부문에서도 자연 관련 위험과 기회를 보다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관리할 필요성을 부각시켰다.

 

2. TNFD 권고안 발표 및 최근 동향

CBD는 주로 정책적이고 거시적인 틀을 제공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기업과 금융 부문이 자연 자본 및 생물다양성과 관련된 위험과 기회를 구체적으로 평가하고 공개하는 데 필요한 세부적인 지침을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이에 알맞은 프레임워크가 필요했다. 2020년 7월, 자연 자본의 손실이 기업의 재무적 위험으로 연결된다는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유엔환경계획금융이니셔티브(UNEP FI), 유엔개발계획(UNDP), 세계자연기금(WWF) 등 주요 국제기구들이 자연 관련 정보 공시에 대한 국제적 이니셔티브인 자연 관련 재무정보공개 협의체(Taskforce on Nature-related Financial Disclosures, TNFD)를 제안했다. 이후 사전 준비 작업을 거쳐 TNFD는 2021년 6월 공식 출범했다. 이 준비 단계에서 금융기관, 기업, 정부기관, 국제기구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TNFD의 설계와 개발 과정에 참여해 자연 관련 위험과 기회를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관리할 수 있는 기준을 만드는 데 기여했다.

TNFD는 2022년 3월 자연 관련 재무 정보 공시 가이드라인인 ‘TNFD 권고안 초안’을 발표했고, 같은해 12월 캐나다 몬트리올에서 열린 제15차 유엔 생물다양성 협약 당사국 총회 (COP15)에서는 자연자본 공시 제도화에 대한 국제적 합의가 이뤄지기도 했다. 이후, 세 차례에 걸쳐 내용을 수정을 반복해 2023년 9월 TNFD 권고안 최종본을 확정했다.

TNFD 권고안은 기업에게 ‘기후변화’에 이어 ‘자연 자본 및 생물다양성 관리’라는 또 다른 과제가 주어졌음을 의미한다. 기후변화 관련 재무정보공개 협의체(Taskforce on Climate-related Financial Disclosure, 이하 TCFD)의 권고안을 기반으로 글로벌 주요 기후변화 관련 공시 기준이 만들어진 것과 같이 TNFD 권고안도 자연 자본 및 생물다양성 관련 공시 기준의 기본 토대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자연 자본 및 생물다양성 관련 국제사회 논의 현황(1970년대~2020년대)

출처: 관련 국제 기구 홈페이지 및 언론 보도 종합, 삼일PwC 각색

II. 자연 자본과 기업 비즈니스의 상호 작용

1. 4가지 기본 요소 ①: 의존성(Dependencies)과 영향(Impacts)

TNFD 권고안은 기업이 비즈니스와 자연 자본 간의 상호 작용을 이해하기 위해 ‘의존성(Dependencies)’, ‘영향(Impacts)’, ‘위험(Risks)’, 그리고 ‘기회(Opportunities)’의 4가지 요소(DIRO)로 나누어 관련된 문제를 정의하고, 이를 식별, 평가, 관리 및 보고하도록 하고 있다.

출처: TNFD, THE NATURE–BUSINESS NEXUS, 2024.3

먼저, 의존성(Dependencies)은 기업이 자연 자본에 얼마나 의존하고 있는지를 의미한다. 의존성은 기업의 비즈니스 활동 지역에 따라 좌우되는데, 지역에 따른 의존성이 단기·중기·장기간에 걸쳐 기업의 수익과 가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의존성은 TCFD와 가장 차별되는 요소다. 기후 변화로 인한 위험과 기회에 더 집중하는 TCFD와 달리 TNFD는 기업이 자연 자본에 얼마나 의존하고 있는지를 평가하는 것을 핵심 요소로 보기 때문이다. 

영향(Impacts)은 기업의 활동이 자연에 미치는 영향이다. TNFD에서는 기업이 자연 자본에 미치는 영향을 3가지로 구분한다. 먼저, 기업의 활동이 자연 자본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직접 영향’이 있다. 제조업체가 화학 물질을 배출하여 인근 지역의 강을 오염시켜 발생한 부정적인 영향이 ‘직접 영향’의 예시가 될 수 있다. 두 번째 영향은 기업의 직접적인 활동으로 인해 발생하지는 않지만, 공급망 또는 소비자의 활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영향인 ‘간접 영향’이 있다. 마지막으로 ‘누적 영향’은 기업과 산업별 활동 등 다양한 외부 요인들이 함께 누적되어 자연 자본에 장기적인 변화를 일으키는 경우를 의미한다.
 

2. 4가지 기본 요소 ②: 위험(Risks)과 기회(Opportunities) 

기후 변화가 기업에게 위험과 기회를 제공하듯 자연 자본 손실과 생물다양성 감소도 마찬가지다. 자연 관련 리스크는 기업의 수익, 비용 및 자본 지출, 자본 접근성 등(예: 보험료 인상, 대차대조표상의 자산 및 부채 영향 등)에 변화를 주며 재무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위기는 곧 기회로 다가오는 것처럼 자연 관련 기회도 존재한다. 자연 관련 기회를 전략적으로 잘 활용한다면 기업 운영, 자금 유동성 확보, 평판 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

TNFD 권고안은 자연 관련 위험과 기회를 크게 다섯 가지 측면으로 구분했다.

(1) 위험(Risks)

TNFD는 자연 자본 손실이나 생물다양성 감소가 기업에 미치는 잠재적인 위험을 자연 관련 위험으로 보고 있으며, 크게 세 가지로 유형화했다.

1) 물리적 위험

생태계 서비스 손실, 자원 가용성 감소 등으로 인해 비즈니스 운영이 중단되거나 비용이 증가하는 것을 의미한다. TCFD와 마찬가지로 급성 위험과 만성 위험, 두가지로 구분된다. 급성 위험은 산불, 가뭄, 해충 발생 등 특정 사건으로 인해 단기적으로 발생하는 위험이며 기업에 미치는 영향도 즉각적이다. 반면, 만성 위험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서서히 나타나며, 그 영향도 장기적으로 지속될 수 있다. 살충제의 장기적인 사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자연 생태계의 점진적인 변화가 만성 위험의 사례로 볼 수 있다.
2) 전환 위험

규제 및 정책, 시장, 기술, 투자자 심리 및 소비자 선호의 변화로 인해 경제와 사회가 변화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위험을 의미한다. TCFD에서 규정한 전환 위험과 마찬가지로 규제/정책·법적 의무·평판·시장·기술 위험 등 5가지가 있다. 5가지 유형의 전환 위험의 사례를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① 규제/정책: 산림 벌채를 금지하는 등의 생물다양성 관련 정책 및 규제가 도입되면, 농업, 광업, 건설업과 같이 토지 사용에 의존하는 산업은 기존 사업 모델이 위협받는 등의 위험이 있다.

② 법적 의무: 자연과 생물다양성과 관련된 법률이 도입되고 판례가 변화하면서 소송 위험, 사업 활동 중단, 복구 작업을 진행하며 추가적인 재정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③ 평판: 소비자들이 지속가능한 제품을 선호하면서 자연 및 생물다양성 훼손과 연관된 기업은 불매 운동이나 신뢰 저하 등의 평판 리스크에 노출될 가능성이 있다.

④ 시장: 자연 자본과 생물다양성 감소가 원자재 가격 상승, 생산 감소, 공급망 차질, 소비자 가격 인상 등으로 이어져 시장 수요를 위축 시키고 경쟁력을 약화시키는 등의 리스크가 발생할 수 있다.

⑤ 기술: 자연과 생물다양성 보호를 위해 새로운 기술을 도입하거나 기존 기술을 전환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기술 개발 실패, 비용, 기술적 불확실성 등으로 인한 기업의 운영, 수익성, 경쟁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3) 시스템 위험
물리적 위험과 전환 위험 등 개별 위험 요인들이 상호 연결되고 누적되면서 전체 시스템이 붕괴되는 리스크를 의미한다. 개별 조직의 리스크 관리 실패로 인한 위험이 아닌 다양한 자연 관련 리스크 요소가 누적돼 복합적인 방식으로 작동하여 시스템 전반이 회복할 수 없는 상태에 이를 수 있는 위험이다. 시스템 위험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된다. 첫 번째는, 생태계 안정성이 심각하게 악화되어 더 이상 이전과 같은 자연 환경 조건 하에서 비즈니스 운영이 불가능한 ‘시스템 안정성 위험(Ecosystem Stability Risk)’이다. 두 번째는 물리적·전환·시스템 리스크가 현실화되고 모든 위험의 복합적인 영향으로 인한 전체 금융 시스템이 불안정해지면서 나타나는 “금융 안정성 위험(Financial Stability Risk)”이다.
(2) 자연 관련 기회

자연 관련 기회는 자연 자본을 보호하거나 복원하는 활동을 통해 기업에 재무적 이익과 자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 크게 두 가지 기회로 구분되며, 이 두가지 기회가 상호 보완적인 관계를 가진다.

  • 사업 성과와 관련된 기회: 기업이 자연 관련 위험을 완화 및 관리하는 과정을 통해 비용 절감, 수익 증대, 규제 대응 등 직접적인 성과를 얻을 수 있는 기회다. TNFD는 최종 권고안에서 시장, 자본 흐름과 조달, 제품과 서비스, 자원 효율성, 평판 측면에서 기회가 존재한다고 설명한다. 예를 들어, 자연 자본을 재활용 및 재이용하는 서비스를 개발하여 시장에 판매하여 수익을 얻거나, 지역사회 및 소비자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로부터 우호적인 기업 이미지가 형성되는 등의 평판 기회를 얻을 수가 있다.
  • 지속가능성 성과와 관련된 기회: 자연 자본을 보호하고 복원하는 활동은 지속가능한 자원 관리와 생태계 보호, 복원 및 재생에 기여하며, 궁극적으로 지속가능성 관련 리스크를 줄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3) 자연 관련 위험과 기회가 기업 재무에 미치는 영향

자연 관련 위험과 기회는 기업의 재무제표 전반에 걸쳐 다양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예를 들어, 생태계 서비스 감소로 인해 원자재 공급이 불안정해지면 생산 비용이 증가하고, 자연 관련 규제 강화로 인해 추가 비용이 발생할 수 있다. 이는 매출 감소와 운영 비용 증가로 이어질 수 있으며, 장기적으로 자본 지출 부담도 증가할 수 있다.

반면, 기업이 생물다양성을 보존하는 노력을 통해 지속 가능한 공급망을 구축하면 원자재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자연 친화적 제품과 서비스의 수요 증가로 매출이 증가할 수 있다. 자원 절약을 통해 운영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지속 가능한 기술과 인프라에 대한 투자는 장기적으로 자산 가치를 상승시킬 수 있다.
자연 자본과 생물다양성 감소 위기를 완화하고, 관련 규제를 준수하는 기업은 자본 접근성이 좋아지고 자본 비용이 낮아질 가능성이 크다. 반면, 자연 자본 손실을 초래하는 기업은 평판이 악화되어 자본 조달이 어려워지고, 신용 등급 하락과 함께 자본 비용을 증가시킬 수 있는 여지가 있다. 이는 보험료 상승과 대출 이자율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

대차대조표상의 자산과 부채도 자연 관련 위험과 기회에 따라 변동될 수 있다. 생물다양성 감소를 막기 위한 관련 기술 및 설비 도입은 자산 가치를 상승시키는 반면, 자연 재해나 자연 관련 규제 미준수는 자산 가치를 하락시킬 수 있다. 또한, 자연 자본 훼손으로 인한 소송 비용이나 벌금은 부채로 작용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자연 자본 손실과 생물다양성 감소와 같은 자연 관련 위험과 기회는 기업의 수익, 지출, 자본 접근성, 자산 및 부채의 장부 금액에 다각도로 영향을 미치며, 이는 신용, 운영, 시장, 유동성, 책임, 평판 및 전략적 위험에 긍정적 또는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자연 관련 위험과 기회 및 재무적 영향

출처: TNFD, Recommendations of the Taskforce on Nature-related Financial Disclosures, 2023.9

III. 자연 자본 관련 공시를 위한 프레임워크

1. 자연 자본 관련 공시의 시대 

2022년 12월 제15차 유엔 생물다양성 협약 당사국 총회(COP15)에서 전 지구적으로 추진해야 할 생물다양성 실천목표 및 이행계획을 담은 국제 조약인 ‘쿤밍·몬트리올 글로벌 생물다양성 프레임워크(Kunming-Montreal Global Biodiversity Framework, KMGBF)’에 196개 국가가 합의했다. KMBGF는 생물다양성 손실의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고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2050년까지 달성하기 위한 4개 목표와 2030년까지 달성해야 하는 실천목표로 구성된 글로벌 생물다양성 관련 목표다.

KMGBF는 2030년까지 육지와 해양의 30%를 보호지역으로 지정하고, 훼손된 생태계의 30%를 복원하며, 대기업과 금융기관이 생물다양성 정보를 공개하도록 하는 등의 실천목표 23개를 제시했다. 향후 당사국들은 KMGBF를 반영한 국가생물다양성전략을 2024년까지 제출하고, GBF의 이행실적을 정리한 국가보고서를 2026년과 2029년에 제출해야 한다.

KMGBF의 15번째 목표는 기업이 생물다양성에 대한 의존도와 영향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평가 후 투명하게 공시할 것으로 명시하고 있다. KMGBF는 ISSB가 제정한 국제지속가능성 공시 기준과 EU의 지속가능성 공시 지침(CSRD) 등에서 자연과 생물다양성 공시가 중요한 요소로 자리잡도록 기여했으며, 자연 및 생물다양성 리스크를 다루기 위한 TNFD 권고안 개발에도 영향을 미쳤다. 예를 들어, ISSB가 다음 공시 기준 주제로 ‘자연 및 생물다양성’을 선정했고, TNFD를 포함한 다양한 공시 기준을 활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EU CSRD 이행을 위한 기준인 ESRS의 환경 관련 4번째 주제는 ‘생물다양성 및 생태계’다. 기업의 이중 중요성 평가를 통해 생물다양성이 기업에게 중요한 주제로 선정되었다면, ESRS E4에서 설정한 주제별 공시 요구사항을 준수해야 한다.

TNFD는 현재 전 세계 502개 기업이 TNFD 권고안에 따른 공시를 약속했다고 발표했다. 이들 기업의 총 시가총액은 약 6조 5천억 달러(약 8,900조 원)에 달한다. TNFD 공시를 약속한 금융기관은 129개로 이중 25%가 국제결제은행(BIS)가 정한 ‘글로벌 시스템에 중요한 은행(GSIBs)’이며, 이들 금융기관의 운용자산은 17조 7천억 달러(약 2경 4,200조 원)에 달한다. 이러한 국제사회의 움직임에 따라 앞으로 기업의 자연 자본 공시는 더욱 활발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2. 자연 관련 공시를 위한 기초 가이드라인

TNFD 권고안은 자연 자본 손실로 인한 위험 및 기회를 관리하고 공시하기 위한 가이드라인이다. TNFD 권고안은 기업과 자연 자본에 대한 의존도, 영향, 리스크 및 기회를 평가하고 공시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이를 통해 기업은 자연 자본과의 상호작용을 이해하고, 이를 기반으로 전략적인 의사결정을 할 수 있다.

TNFD 권고안은 공시 보고서를 작성하고 활용할 때 부담을 줄이기 위해 TCFD와 사용하는 용어, 접근 방법, 구조 등과 유사한 방식으로 개발됐다. TNFD도 TCFD와 마찬가지로 ‘거버넌스-전략-위험 및 영향 관리-지표 및 목표’의 4가지 핵심 주제 영역이 있고, 14가지 세부 공시 항목으로 구성됐다. 14개 세부 사항 중 11개가 TCFD가 제안하는 사항과 유사하며, 나머지 3개가 TNFD 특화 지표가 추가된 것이 특징이다.

TNFD 공시 권고 4가지 핵심 주제 및 14가지 세부 항목

출처: TNFD, Recommendations of the Taskforce on Nature-related Financial Disclosures, 2023.9

IV. 자연 관련 공시를 위한 기업 준비 사항

자연 자본 및 생물다양성 시리즈 1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대부분의 산업이 자연 자본에 높은 의존도를 보이고 있으며, 영향을 주고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연 자본 손실과 생물다양성 위기가 현실화되고 있으며, 자연 관련 공시가 곧 기업의 추가 과제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따라서 기업은 자연 관련 공시에 관심을 가지고 준비해야 한다. 기업이 선제적으로 수립한 자연 전략은 자연 관련 리스크를 완화하고 자연 관련 기회를 제공해 가치 창출의 원천으로 작용할 것이다.
 

① 거버넌스 기구의 관심에서부터 시작

자연 자본 관련 영향과 의존성을 관리하는 것은 일부 조직이나 실무진에서 단독으로 다룰 수 없는 복잡한 사안이다. 기업의 경영진과 이사회는 자사의 비즈니스 활동이 자연에 미치는 영향과 자연 자본 손실이 초래하는 재무적 위험을 인식하는 것이 필수다. 특히, 자연 자본 의존도가 높은 5대 산업(농업, 임업, 어업 및 양식업, 식음료 및 담배, 건설)에 속한 기업들은 자연 자본 및 생물다양성을 기업 경영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이슈로 선정해야 한다.

자연 자본 및 생물다양성 이슈를 기업의 기존 지속가능성 전략에 통합하고 관리하기 위해 경영진과 이사회는 자원을 적절히 배분하고 책임을 명확히 해야 한다. 이를 위해 자연 자본 및 생물다양성 관련 성과를 보상 정책과 고위, 중간, 하위 관리자의 핵심 성과 지표(KPI)에 통합해야 한다.
 

② 공시 기준에 대한 이해와 기존 공시 기준과의 통합적 접근

기업은 먼저 TNFD 권고안의 요구사항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바탕으로 자연 자본과 생물다양성을 고려한 포괄적인 지속가능성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이를 위해 기업은 TNFD 권고안을 기반으로 ISSB 또는 EU CSRD에서 요구하는 지속가능성 공시 기준과 통합하여 공시하는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 TNFD를 따르면서도 다른 표준과의 일관성을 유지하는 것은 공시 프로세스를 효율화하는 데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또한, 비즈니스 전반에 걸쳐 자연 관련 이슈를 포함한 지속가능성 전략을 통합하면 공식적인 공시 규제가 도입되었을 때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으며, 자연과 관련된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발굴하는 데도 도움이 될 것이다.
 

③ LEAP 접근법 활용한 내부 평가 진행

TNFD는 4가지 공시 항목과 함께 LEAP(Locate, Evaluate, Assess, and Prepare) 접근 방식을 통해 기업이 자연 관련 의존성, 영향, 위험 및 기회(DIRO)를 평가하도록 권장한다. 공시를 위한 일종의 내부 실사 평가라고 볼 수 있다.

LEAP는 자연 자본 의존도와 영향이 높은 지역을 파악하고(Locate), 기업이 자연 자본에 얼마나 의존하고 있는지와 그 영향을 평가하며(Evaluate), 자연 자본이 기업에 미치는 위험과 기회를 측정하고(Assess), 이에 대한 대응 및 공시를 준비하는(Prepare) 프로세스로 구성된다.

TNFD는 LEAP를 ‘단계'를 엄격히 따르는 것이 아니라, 평가 ‘구성 요소’를 포함한 ‘접근 방식’임을 강조했다. TNFD 자체 내부 파일럿 테스트 결과, 일부 금융 기관이 LEAP를 활용하는 방식과 기업이 LEAP를 활용하는 방식이 다르다는 것이 확인 되었기 때문이다. 아래의 LEAP 접근법법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LEAP은 L1에서 P4까지 16개의 구성 요소로 구분되되어 있지만, 이를 반드시 순차적으로 사용할 필요는 없고 기업 내외부 조건에 따라 선별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PwC는 TNFD와 협력하여 자연 관련 데이터 플랫폼과 도구를 소개하는 TNFD Tools Catalog를 개발했다. TNFD Tools Catalog는 산업별, TNFD 공시를 위한 LEAP 단계별 기업이 참고할 수 있는 도구를 제공해 기업이 자연 위험과 기회를 평가하고, 공시에 필요한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출처: TNFD, Recommendations of the Taskforce on Nature-related Financial Disclosures, 2023.9

참고. LEAP 접근법과 SBTN 두 가지 프레임워크를 활용한 통합적 접근

PwC는 자연 관련 리스크와 기회를 포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통합적인 접근 방법으로 ‘LEAP’과 ‘SBTN’ 지침을 접목할 것을 제안했다. SBTN은 과학기반 목표 네트워크(Science Based Targets Network)의 약자로 기업이 자연 전반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 이에 대한 과학 기반의 목표를 수립하기 위한 지침을 제공한다. LEAP 접근법은 기업의 활동과 자연 자본 간의 상호작용을 이해하고, 자연 자본 리스크 관리 및 전략 수립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반면 SBTN은 자연 자본 및 생물다양성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줄이고 지속가능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구체적인 목표를 설정하는 데 중점을 둔다. 따라서 LEAP의 분석 과정과 TNFD의 목표 설정이 상호 보완적으로 작용해, 자연 관련 리스크와 기회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공시할 수 있다.

이미 글로벌 기업은 두 가지 프레임워크를 접목하여 기업 평가를 진행하고 목표를 설정한 바 있다. 예를 들어, 네슬레(Nestlé)는 커피 농장을 운영하는 지역에서 자연 자본 의존성을 평가(Locate)했다. 해당 지역에서의 수자원 및 토양 상태를 분석한 후, SBTN 지침에 맞춰 수자원 보호와 토양 복원 프로그램을 도입했다. 이케아(IKEA)는 목재와 같은 주요 자원에 의존하는 공급망을 평가하면서 LEAP 접근법을 활용해 생물다양성 손실 위험을 분석했다. 이를 기반으로 SBTN의 지침에 따라 나무 등의 산림 자원을 지속가능하게 관리하기 위한 목표를 설정했다.
 

References

TNFD, THE NATURE –BUSINESS NEXUS, 2024.3
TNFD, Recommendations of the Taskforce on Nature-related Financial Disclosures, 2023.9
PwC&VBDO, Biodiversity and Business Challenges and good practices, 2023.10
PwC, The right climate for nature, 2024.10
PwC, Tackling nature-related reporting and the TNFD, 2023.9
PwC UK, Nature reporting regulation: what’s next?, 2023. 4
IKEA, Sustainability Report FY23
Nestlé, Creating Shared Value and Sustainability Report 2023

 

자연 자본 및 생물다양성 시리즈 ②

자연 자본 공시 대응을 위한 기업의 준비 전략

Download the PDF (PDF of 1.29mb)
Follow 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