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원전 수출 경쟁력 점검 및 제언

Background image
  • June 17, 2025

'K-원전' 팀코리아가 원전 강국인 프랑스를 제치고 체코 신규 원전 사업을 수주하였습니다. 이는 한국의 원전 건설 및 운영 능력을 전세계적으로 입증한 쾌거입니다. 이에 한국이 추가적으로 수출할 수 있는 지역 및 규모를 예상해보고, 지속적인 수출로 이끌 한국형 원전의 경쟁력을 살펴봅니다. 


1  세계 원자력 발전 운영 현황
 

  • 전 세계적으로 총 440기의 원자로 중 417기가 가동 중이며, 이들의 설비용량은 약 377.2GW
  • 현재 61기의 원자로가 건설 중이며, 설비용량은 63.8GW
  • 반면, 영구 정지된 원자로는 214기로 전체 설비용량의 28.7%에 해당하는 108.4GW

글로벌 원자로 현황 (단위: 호기)

K-원전 수출 경쟁력 점검 및 제언

자료: IAEA, 삼일PwC경영연구원

글로벌 원전 설비 용량 (단위: GW)

K-원전 수출 경쟁력 점검 및 제언

자료: IAEA, 삼일PwC경영연구원


2. 원자력 발전 전망

세계 원자력 발전량 전망 (단위: TWh)

K-원전 수출 경쟁력 점검 및 제언

자료: IEA, 삼일PwC경영연구원


3. K-원전의 잠재 수출 기회 분석
 

  • 신규 원전 전망: 전 세계적으로 429기의 신규 원전이 건설될 예정.
  • 한국형 원전(APR1400 등) 수출 가능성:
  • 실질적으로 수출 대상이 될 수 있는 원전은 계획된 35기와 제안된 123기로 추산.

K-원전 수출 가능 잠재 프로젝트 규모

K-원전 수출 경쟁력 점검 및 제언

자료: WNA, 삼일PwC경영연구원


4. ‘K-원전’ 경쟁력 분석

K-원전 수출 경쟁력 점검 및 제언

자료: 우리금융경영연구소, 삼일PwC경영연구원

꽃 피는 원전, ‘K-원전’ 르네상스!

K-원전 수출 경쟁력 점검 및 제언

Download PDF (PDF of 1.89mb)
Follow 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