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릿고개 넘는 K-면세점, 위기진단과 제언

삼일PwC경영연구원

한 때 황금알을 낳는 사업으로 부각되던 면세점 업계의 겨울이 길어지고 있습니다. 중국 소비 확대로 동반 성장했던 한국 면세점 업계는 중국인들의 소비 패턴이 변하면서 성장에 제동이 걸렸습니다. 면세점 산업의 현재를 진단하고 그 해법을 모색해보고자 합니다.

I. 면세산업 개요, 화무십일홍
 

  • 중국 관광객에 좌우되는 비즈니스 구조
    • 한국 면세점 업계에서 중요한 부분은 중국인 패키지 여행 상품 코스에 면세점 쇼핑의 포함 여부
    • 코로나 전 국내 면세점 전체 매출액 중 70% 이상을 중국 관광객들이 일으킴
  • 코로나 이전으로 회복되지 못하고 있는 면세산업 규모
     

면세산업 시장 규모 (단위: 조원)

면세산업 시장 규모

주) 영업이익률은 롯데/신라/신세계/현대면세점의 영업이익 합계를 매출액 합계로 나누어 산출 / 자료: 한국면세점협회, 삼일PwC경영연구원

II. 면세산업 위기에 대한 진단
 

  • 면세점 외국인 객단가 감소
    • 국내 면세점 외국인 객단가 2019년 104만원에서 코로나 이후 2,500만원, 엔데믹 이후 2024년 기준 118만원까지 감소
       

면세점 외국인 객단가 추이 (단위: 만원)

면세점 외국인 객단가 추이

자료: 관세청, 한국면세점협회, 삼일PwC경영연구원

 

  • 과도한 송객수수료
    • 1조원 수준이던 송객수수료, 2021년 3.8조, 2022년 7.1조로 폭발적으로 증가
       

송객수수료 추이 (단위: 억원)

송객수수료 추이

자료: 언론보도, 삼일PwC경영연구원

 

  • 중국 관광객 소비 트렌드 변화
    • 개별화, 소규모화, 합리적 소비, 문화체험 중심
  • 중국 면세점의 부상
    • 팬데믹 이후 하이난성 면세점의 급성장
       

글로벌 면세사업자 연도별 순위

글로벌 면세사업자 연도별 순위

자료: 무디 데이빗 리포트, 삼일PwC경영연구원

III. 면세사업 정상화를 위한 제언

  • 면세사업자간 JV 설립 추진 
    면세사업 운영사를 줄이거나 기존 면세사업 운영자들이 JV를 만들어 합작 형태 운영 방안 검토 필요
  • 시내면세점 사업자의 과감한 철수 검토 
    따이공에 의존적인 시내면세점 철수 검토 필요
  • 송객수수료에 대한 자정 노력과 정부의 시장감시 기능 강화 
    송객수수료 지급에 대한 재검토와 불공정한 관행 제한하는 방식 등의 상황에 맞는 규율 필요
  • K-콘텐츠와 면세점의 융합 
    K-뷰티, K-푸드 등 한국 콘텐츠를 외국인들이 체험할 수 있는 주요한 채널로 면세점이 자리매김할 수 있는 지원 필요

뉴스레터, 서비스 소개, 세미나 안내 등 정보 수신을 위한

삼일회계법인 마케팅 수신 동의

※ 위의 수신동의 URL에 접속이 안되는 경우, 아래 PDF 파일을 다운로드 및 작성하여 신청해 주십시오.

[PDF] 삼일회계법인 마케팅 수신 동의 (일반 기업용)  [PDF] 삼일회계법인 마케팅 수신 동의 (감사 또는 감사위원용)담당자에게 파일(PDF)보내기

Follow 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