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 즐기는 시대

한국 주류 산업 분석|삼일PwC경영연구원

소량의 술로 즐기는 Z세대 술 문화(소버 라이프) 확산 및 외식 경기침체 등으로 인해 주류 소비가 자의건 타의건 이중고를 겪고 있습니다. 원래 주류 산업은 불황형 산업이라고 불리우지만 사회가 변하면서 그 특성도 흐려지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주류는 식음료에 속하는 사실상 필수소비재의 성격을 가지고 있어 그 소비는 꾸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만 다양한 맛과 취향이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만큼 트렌드에 맞춘 제품 출시가 무엇보다도 중요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이에 삼일PwC경영연구원에서는 한국 주류산업의 전반적 현황 및 전망, 주요 트렌드 등을 통해 주류업계 플레이어들에게 유효한 사업전략을 제시하고자 합니다.

I. 주류 시장 개요

  • 주류 정의:  주정(에틸알코올) 및 조주정, 알코올분 1도 이상의 음료(의약품 알코올분 6도 미만 제외) *단, 전통주는 별도 법률 충족해야 함 
  • 주류 구분
    • (국내 주세법 기준) 주정, 발효주류, 증류주류, 기타주류
    • (글로벌 기준) 크게 맥주, 증류주, 와인

II. 주류 시장 규모

  • 글로벌: ’23년 기준 세계 주류시장 매출액 1.6조 달러 수준으로 ʼ24~ʼ29년까지 연평균 3% 성장 전망 (Statista)
  • 국내: ’15년부터 감소하던 출고금액이 사회적 거리두기 종료 후 외부 활동 증가하며 ’22년부터 대폭 확대, 10조 원 달성. 다만, 2025년은 2024년부터 이어진 내수소비 위축에 따라 주세 수입 감소 추이를 고려해 봤을 경우, 주류시장 성장세는 미미할 전망
    • 전통주의 경우는 ’17년부터 출고금액 및 출고량은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음. 특히 ’20~’23년 시장성장률이 출고금액 기준 +135%로 크게 성장 

주세 추이로 본 국내 주류시장 성장 전망 (단위: 조 원)

Source: 기획재정부, 국회, 삼일PwC경영연구원
주) 12월 기준 국회 예산 확정안 기준 

III. 주류 시장 밸류체인

  • 제조 → 도매 → 소매 → 소비자 순으로 판매단계별 면허제도 필요
  • 주류 용도에 따라 유통단계 차이

국내 주류 유통 구조

Source: 한국주류산업협회, 삼일PwC경영연구원
주) ①,②,③,④은 제조자의 판매경로 종류   

IV. 주류 시장 트렌드

1. 무알코올·논알코올 시행령 개정안 통과로 식당에서도 공급 가능, 오프라인 판매 경로 개방. 소버 라이프 확산에 수요 증가
2. RTD(Ready to Drink) 저도주 및 믹솔로지 인기 지속. 편의점에서 접근하기 용이해 매출 급증
3. 가성비 시대의 위스키 장기간 보관 및 저렴한 뉴월드 위스키로 가성비측면 부각
4. 일본주류 선호도 증가 엔저 현상 및 일본 문화 향유 긍정적 인식 증가

V. 결론 및 시사점

  • 면허 산업, 과점 시장 특성상 신규 업체 진입은 쉽지 않을 듯
  • 시장 성장세가 정체되어 있어 다양한 주종으로 가격 상승 전략 필요
  • 소비가 기호 다변화 및 빠른 트렌드 변화에 대응 필요. M&A 등을 통한 대형화 및 다양한 포트폴리오 구축 전략 유효

    

Follow 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