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현재까지 글로벌 IPO시장은 미국 및 유럽의 상승, 인도 및 중동의 견조한 실적, 중국의 부진을 보이며, 전반적으로 올해 하반기 시장 회복에 대한 기대감을 이어갔다. 반면, 주식 시장의 변동성 지수인 VIX (CBOE Volatility Index) 지수가 급등하여 시장의 불확실성이 커지는 양상도 보여주었다.
글로벌 IPO 추이는 전년도 동기(2024년 1분기)와 비교해 공모 규모는 30%, IPO 건수는 15% 증가하며 회복세를 보였다. 미국은 공모 규모가 전년도 동기 대비 20% 이상 증가하여, 2021년 이후 1분기 중 가장 높은 공모 규모를 기록하였다. 인도 및 중동 지역에서 IPO 활동이 꾸준한 강세였으며, 홍콩에서도 대형 상장 기업의 IPO가 이뤄지며 낙관론을 불러일으켰다.
2025년 1분기 글로벌 IPO 실적을 토대로 지역별, 산업별 특성을 분석한 내용을 보면 다음과 같다.
Source: S&P Global Market Intelligence LLC
한국은 2025년초부터 4월말까지 총 28건의 IPO에서 1조 9,125억원의 공모금액을 조달하였다. 지난 해 같은 기간 대비 IPO 건수는 3건 감소하였으나, 공모금액은 LG씨엔에스 상장(공모금액 1조 1,994억원)에 힘입어 1조 2,675억원이 증가하여 196%의 증가율을 보였다.
글로벌 시가총액 상위 100개 기업의 가치는 42.6조 달러라는 새로운 최고치를 기록하며, 전기 대비 7% 증가하였다. 소위 Magnificent Seven이라고 불리는 소수의 대형주(애플, 아마존, 알파벳, 메타, 마이크로소프트, 엔비디아, 테슬라)의 시가총액은 10% 성장하여 이는 전년도 50% 성장과 비교하여 둔화된 성장세를 보였다. 그럼에도 Magnificent Seven은 여전히 상위 100대 기업 시가총액의 35%를 차지하고 있다. 시가총액 100개 기업 중 Technology 기업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고, 버크셔 해서웨이의 약진에 힘입어 시가 총액에서 차지하는 Financial 업종의 비중도 커졌다.
Source: S&P Global Market Intelligence LLC with PwC analysis
Source: S&P Global Market Intelligence LLC with PwC analysis
주식 시장의 변동성 기대치를 측정하는 지수로, 흔히 "공포 지수"라고 불리는 VIX 지수는 지난 달 한 때 50을 넘으면서, 팬더믹 이후 최고치를 보였다. 트럼프 정부가 주도한 높은 관세 정책, 지정학적 불확실성, 거시적 경기 불황에 대한 불안으로 인해 주식 시장의 불확실성 및 변동성도 함께 높아지고 있다. 글로벌 IPO시장은 전반적으로 낙관적인 조짐을 보이고, 있지만 시장의 변동성과 불확실성도 함께 커지고 있다.
다음의 2000년 이후 미국 IPO 건수와 VIX 지수와의 관계를 살펴보면, VIX 지수가 낮았던 시기에 IPO 건수가 더 활발하게 이루어졌던 것을 알 수 있다. 2025년 현재까지의 IPO가 전년도 동기 대비 회복하는 모습을 보이지만, VIX 지수도 함께 상승하고 있다는 점을 주지할 필요가 있다.
Source: PwC Capital Markets Advisory (CMA) analysis, Dealogic and S&P Capital IQ.
VIX 지수는 IPO 건수 뿐 아니라 주가와도 상관 관계가 있음을 보여준다. VIX 지수가 상승할 때 주가가 하락하는 경향을 보인다. 4월 2일 트럼프 정부의 관세 정책 발표 직후 VIX 지수는 50을 초과하였고, 이 시점에 S&P 500 지수는 연초 대비 10% 하락, NASDAQ 지수는 16% 하락하였다.
Source: PwC Capital Markets Advisory (CMA) analysis, Dealogic and S&P Capital IQ
시장의 변동성과 불확실성이 증가함에 따라 세계 각 증권시장은 IPO를 지원하고 유치하기 위한 규정을 재정비하고 있다.
국 가 | 주요 IPO규정 개정 사항 |
영 국 | 상장 시장 통합, 3년간의 실적 요건을 폐지 |
홍 콩 | 코너스톤 투자자의 보호예수기간을 단축, 전문기술기업의 상장요건을 완화 |
싱가포르 | 심사기관의 일원화, IPO 법인의 법인세 환급제도를 도입 |
대 만 | 혁신기업을 위한 적격 투자자 제한을 철폐 |
일 본 | IPO 정기 실무 협의회를 설립, 아시아 지역의 유망 스타트업을 선정하여 일본 상장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을 시작 |
이처럼 각 증권 시장은 제도와 규정을 개정하여 IPO를 더욱 활성화 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IPO를 고려 중인 기업들은 이러한 규정의 변화를 예의주시하며 유연한 의사결정을 할 필요가 있다.
“최근 IPO 시장이 급변하며 증시별 IPO 승인의 창구가 빠르게 여닫히고 있다. IPO를 준비하는 기업들은 변화하는 정책과 글로벌 경제 환경에 따른 리스크 관리, 장기적 성장을 위한 전략 수립 및 내부 프로세스 정비가 필요한 시점이다.”
김기록 파트너, 삼일PwC 글로벌 IPO팀 리더